본문 바로가기
WSET2 복습

WSET2 프랑스 지역 생산 와인 포도 품종 와인 라벨 용어 정리

by blanc-o 2023. 12. 12.
반응형

 

WSET2 과정 중 와인 생산에 사용되는 포도 품종을 생산지별로 정리해 보려 합니다. 오늘은 첫 번째로 프랑스 지역의 포도 품종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와인을 좋아하지 않더라도 프랑스 와인에 대해서는 이미 많이 접해보신 분들이 많을 정도로 유명하고 대중적이죠. 지역과 함께 품종별 특징과 와인 라벨 용어도 간략하게 정리해보았으니 와인을 고를 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WSET2-프랑스-지역-생산-와인-포도-품종 -와인-라벨-용어-정리

 



프랑스 라벨 표기

PDO (원산지 지정 보호) 아펠라시옹 도리진 프로테제 (AOP)
아펠라시옹 도리진 코트롤레 (AOC)
PGI (지리적 표시 보호) 인디카시옹 제오그라피크 프로테제 (IGP)
뱅 드 페이 (VdP)

 



버건디 지역

피노누아 (Pinot Noir)

딸기, 라즈베리 등의 붉은 과실 향이 특징이며 젖은 이파리, 버섯 등의 숙성향이 나기도 합니다.

산도가 높고 탄닌이 적어 과일 풍미를 잘 느낄 수 있어 가볍게 즐기기 좋은 레드 와인 품종입니다.

 

<코트 도르> 지역 라벨

  • 부르고뉴 (Bourgogne) AOC: 버건디 전체 지역 포괄
  • 빌라주 (Village) : 마을 
  • 프리미에 크뤼 (Premier Cre): 개별 빌라주 등급 내의 고품질 포도밭
  • 그랑 크뤼 (Grand Cre): 소수의 최상급 포도밭

 

코트 드 뉘 (코트 도르의 북부) - 마을: 제브레 샹베르탱 / 뉘-생-조르주

코트 드 본 (코트 도르의 남부) - 마을: 본 / 포마르

 

샤르도네 (Chardonnay)

화이트 와인 품종 중 가장 유명한 샤르도네는 샤도네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요, 유명한만큼 양조기법도 다양하고 다른 품종과 블렌딩도 많이 한답니다! 재배되는 곳의 기후에 따라 산도 높은 레몬, 사과 등의 향부터 바나나, 망고와 같은 열대 과일 향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풍미를 가지는 품종입니다.

  • 뫼르소(Meursault) AOC - 코트 드 본
  • 퓔리니-몽라셰 (Puligny-Montrachet) AOC - 코트 트 본
  • 부르고뉴 (Bourgogne) AOC - 버건디 전역
  • 샤블리 (Chablis) AOC - 빌라주 단위
  • 마콩 AOC - 버건디 남부 (오크 숙성 ×)
  • 푸이-퓌세 AOC - 버건디 남부 (오크 숙성 ○)

 

Alsace

알자스

알자스에서 생산된 와인은 라벨에 포도 품종을 명시합니다.

라벨용어와 함께 알자스에서 주로 생산되는 포도품종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알자스> 지역 라벨

  • 알자스 (Alsace) AOC - 전체 지역 포괄
  • 알자스 그랑 크뤼 (Alsace Grand Cru) AOC - 동향, 남동향의 구릉지대
  • 방당지 타르티브 (Vendanges Tardives / VT) - 늦수확하여 과숙된 포도로 만든 와인 (알자스에서만 사용)

 

알자스 생산 주요 품종

  • 리슬링 (Riesling): 과일, 꽃 향이 두드러지는 청포도 품종으로, 당도와 바디감 모두 다양하게 생산되며, 포도를 얼리거나 귀부병의 영향을 받은 포도를 이용하기도 합니다.
  • 피노그리 (Pinot Gris): 알자스 피노 그리는 주로 과숙 상태에서 와인 양조에 이용되어 당도가 완숙되고 복합적 풍미가 두드러집니다.
  • 게뷔르츠트라미너 (Gewurztraminer): 산도가 낮거나 중간 정도이며 바디감이 묵직한 것이 특징입니다. 드라이부터 스윝트까지 다양하게 양조가 가능하며 독특한 향을 가져 풍미 좋은 화이트 와인을 찾는 이들에게 인기입니다. 

 

Beaujolais

보졸레

가메 (Gamay)는 보졸레 지역에서 독점 생산되는 품종으로,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는 적포도 품종입니다.

탄닌 추출은 최소화하고 색의 추출은 극대화하여 바나나와 사탕 향을 내는 독특한 풍미를 자랑합니다.

 

<보졸레 지역 라벨>

  • 보졸레 AOC, 보졸레 누보 AOC - 보졸레 지역 어디서나 재배된 포도 사용 / 가장 가볍고 소박
  • 보졸레 빌라주 AOC -보졸레 북부 지역의 마을 / 좀 더 강렬한 풍미와 바디감
  • 보졸레 크뤼 (ex. 플뢰리 AOC) - 빌라주 등급 내 10개 마을 / 가장 우아하고 섬세

 

Loire

루아르 밸리

광고2

소비뇽 블랑 (Sauvignon Blanc)

꽃, 녹색 과일, 풀향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인 소비뇽 블랑은 단맛이 전혀 없이 드라이하면서도 산도가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 그래서인지 아로마향이 굉장히 두드러지는 편입니다.

 

  • 투렌 (Touraine) AOC: 전형적으로 과일 풍미를 가진 저가 와인
  • 상세르 (Sancerre) AOC: 식물성 풍미가 두드러지는 드라이 와인
  • 푸이-퓌메 (Pouilly-Fume) AOC : 식물성 풍미가 두드러지는 드라이 와인

 

슈냉 블랑 (Chenin Blanc)

초록 과일, 감귤류, 핵과, 열대 과일 향 등 다양한 풍미와 함께 '귀부병'에 취약한 특징이 있습니다. 귀부병의 영향을 받은 포도로 생산된 와인은 핵과나 열대 과일의 향을 지닙니다.

 

  • 부브레 (Vouvray) AOC - 슈냉 블랑만 유일하게 허용 가능 / 신선한 사과 풍미 / 중간 드라이 : "드미-섹(Demi-Sec)"

 

Bordeaux

보르도

보르도 지역 등급 명칭

  • 보르도(Bordeaux) AOC
  • 보르도 쉬페리외르 (Bordeaux Superieur) AOC

 

보르도 좌안: 카베르네 소비뇽 (Cabernet Sauvignon)

풍미와 탄닌이 강한 품종으로, 단일 품종으로도 와인이 생산되지만, 보르도 우안의 메를로와 혼합하여 와인 생산에 쓰이기도 합니다.

  • 메독 (Medoc) AOC 
  • 오-메독 (Haut- Medoc ) AOC - 마고(Margaux) AOC / 포이약(Pauillac) AOC
  • 그라브(Graves) AOC - 페삭-레오냥(Pessac-Leognan) AOC

 

보르도 우안: 메를로 (Merlot)

보르도는 메를로와 가장 유명한 생산지이며 특히 보르도 우안의 와인 중에서 가장 중요한 품종입니다. 

산도와 탄닌이 모두 중간 정도인 드라이한 레드 와인 품종으로, 숙성했을 때 말린 과일의 향과 담배 풍미가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 포므롤(Pomerol) AOC
  • 생-테밀리옹(Saint-Emillion) AOC
  • 생-테밀리옹 그랑 크뤼 (Saint-Emillion Grand Cru) AOC

 

세미용 (Semillon)

청포도 품종으로, 완숙도에 따라 풍미와 산도, 바디감까지 다양하게 나타나며, 숙성이 잘 된 일부의 경우에는 말린 과일, 견과류, 꿀 등의 3차 풍미로 발전하기도 합니다. 

 

  • 보르도(Bordeaux) AOC - 소비뇽 블랑과 혼합하여 드라이 혹은 스위트 와인 생산 / 오크통이나 병입 상태로 숙성
  • 소테른 (Sauternes) AOC - 귀부병 영향을 받은 포도로 스위트 화이트 와인 생산 / 소테른에서 가장 중요한 품종이 세미용

 



북부 론

시라 (Syrah)

북부 론 지역의 AOC 와인 중 유일하게 허용되는 적포도 품종으로, 수작업만 가능한 특징때문에 생산비가 많이 듭니다.

시라는 탄닌과 산도가 중간에서 높은 수준까지 생산이 가능하고, 검은 과일 풍미와 함께 후추향이 두드러지는 특징입니다.

 

  • 코트 로티 AOC - 복합적인 후추 풍미의 시라 생산
  • 에르미타주 AOC - 남향의 언던 하나가 에르미타주 등급 명칭 전체 형성
  • 크로즈-에르미타주 AOC - 복합적 풍미는 덜하지만 수확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더 낮은 가격에 판매

 

비오니에(Viognier)

꽃 향기가 두드러지며 핵과 풍미를 풍기는 것이 특징입니다. 주로 산도는 낮거나 중간이며 알코올 도수가 높습니다.

북부 론 지역에서는 비오니에로 단일 품종의 와인을 생산합니다.

 

  • 콩드리유(Condrieu) AOC - 오크에서 기인한 가벼운 바닐라 풍미를 가지며, 비오니에 특유의 꽃 향기와 잘 어우러짐

 



남부 론

론 크뤼

론 밸리에서 가장 명성이 높은 몇몇 포도밭의 자체 등급 명칭이 크뤼(crus) / 론 밸리 전체 동일 라벨

  • 크로즈-에르미타주 AOC
  • 에르미타주 AOC
  • 코트 로티 AOC
  • 콩드리유 AOC

 

그르나슈 (Grenache)

당도가 높고 산도가 낮은 것이 특징으로, 단기 침용 방식을 통해 로제 와인 생산에 이용되기도 하며, 종종 시라나 스페인의 템프라니요와 같은 품종과 혼합되기도 합니다.

 

  • 코트 뒤 론 AOC - 론 밸리 전체를 포괄하지만 주로 남부 론에서 재배된 포도 사용 / 바로 마시기 좋은 소박한 중간 바디
  • 코트 뒤 론 빌라주 AOC - 남부 론의 마을 / 풍미 강도와 복합미가 더욱 강함
  • 샤토네프-뒤-파프 AOC - 도수 높은 무거운 바디

 



그 외 프랑스 남부 지역

  • 카베르네 소비뇽  (Cabernet Sauvignon)
  • 메를로 (Merlot)
  • 시라  (Syrah)
  • 그르나슈 (Grenache) - 레드/로제 와인에 중요한 품종 → 미네르부아(Minervois) AOC
  • 샤르도네 (Chardonnay) - IGP로 와인 라벨에 명시
  • 소비뇽 블랑 (Sauvignon Blanc)

 


이번 글에서는 WSET2 과정에서 프랑스에서 생산되는 포도 품종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와인을 공부하시는 분들뿐만 아니라 와인을 선물할 일이 있을 때 유용한 정보가 되었길 바랍니다.

 

반응형